본문 바로가기

IT 정보/컴퓨터

VHD 사용 예제

반응형

제 사무실 노트북 사용 환경입니다. 

 

구분

내용

Win7EntSP1x86.VHD

시스템 전체의 Parent VHD로 Windows 7 Enterprise SP1 32bit 버전 설치.

왜 Enterprise를 사용하냐? ==> IT 관계자에 한해서 Windows7 EnterPrise 평가판을 무료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VHD는 Ent와 Ultimate에서만 가능합니다

http://technet.microsoft.com/ko-kr/evalcenter/cc442495.aspx

 

MS에서 다운받으면 영어버전 + 한글 + SP1 등의 작업을 해야합니다

하지만 다른곳에서 구한 Win7 Ent K 버전 설치하고 평가판에서 평가판 key만 찾아내서(VirtualBox에 설치 + KeyFinder) 등록하면 됩니다.(KN은 안됨) 

무료 사용 할 수 있는 기간은 (등록대기 10일)90일 평가 기간 이지만 rearm 5회가 제공됩니다. 그런데 VHD 를 사용하게 되면 rearm 횟수마저도 초기화 할 수 있으므로... 

사무실이 아니라 집에서라면 Ultimate나 Enterprise 중에 아무거나 사용하면 됩니다. 그리고 아래의 Work Master.VHD 역시 만들지 않고 Win7EntSP1x86.VHD 에다가 항상 사용할 프로그램 설치해주시면 됩니다.

Boot.Wim

복구 모드, VHD 초기화 등을 할 때만 사용

아니면 PE를 이용해도 됨. 아래 Clean.vhd 복사만 실행 할 수 있으면 됨

Work Master.VHD

실제 사용할 업무 VHD 의 parent VHD.

Win7EntSP1x86.VHD 에는 윈도우와 업데이트 그리고 절대 지우거나 업데이트 하지 않을 프로그램만 설치하고 기타 업무등에 사용할 프로그램을 설치 합니다.

Work_Child.VHD

실제 사용하는 VHD로 Win7EntSP1x86.VHD => Work Master.VHD 에서 상속.

여기서 C:\에 무엇을 설치하던 무엇을 지우던 parent VHD 파일의 내용은 그대로이고 변경 내역만 Work_Child.VHD에 저장 되는 것이라 이 VHD를 clear 시키면 Work Master.VHD 상태로 되돌아갑니다.

Honor x86.VHD

포터블 프로그램을 만들거나 임시로 사용하기 위한 VHD.

clean.vhd

clean_child.vhd

VHD를 clear하기 위한 초기화된 VHD 파일

윈도우가 지저분해졌건 뭔가의 충돌로 블루스크린이 떳던 어떠한 이유에서라도 포맷 필요없이 이 파일만 엎어치면 parent에 설정되어 있는 상태로 완벽하게 초기화가 됩니다. 

clean_child.vhd 파일을 Work_Child.VHD 로 엎어치면 Work Master.VHD (포맷하고 윈도우, 업무 프로그램등 설치) 한 상태로 돌아갑니다.

clean.vhd 을 Work Master.VHD 또는 Honor x86.VHD 로 엎어치면 해당 VHD가 윈도우만 설치된 (Win7EntSP1x86.VHD) 상태로 되돌아갑니다.


상기 VHD들은 멀티 부팅으로 선택하여 부팅 할 수 있습니다.

평소엔 Work_Child.VHD 로 부팅해서 사용하다가 포맷하고 싶은 생각이 들면 Boot.Wim 이나 PE 또는 DOS등으로 부팅해서 clean_child.vhd를 Work_Child.VHD로 엎어치면 Work Master.VHD 상태로 간단하게 돌아갑니다.

초기화 하고 Work Master.VHD 로 부팅해서 반영할 것들 반영하고 다시 Work_Child.VHD로 부팅해서 사용하면 된다.

그리고 멀티 부팅을 잘 이용하면 보안툴로 인해 막혀 있는 기능들도 사용 가능하다. 또는 단속시에 깨끗한 VHD로 부팅을 하면... ^^ 

단 조심해야 할것은 Differencing VHD 특성상 parent VHD를 수정하면 child VHD들을 모두 clear 시켜야 합니다.

Work Master.VHD 를 수정하면 Work_Child.VHD 를 clear 시켜줘야 하고 Win7EntSP1x86.VHD를 수정하면 나머지 모든 VHD를 다 celar시켜야 합니다.

그래서 저는 Win7EntSP1x86.VHD를 윈도우 설치 후 멀티 부팅 메뉴에서 빼서 혹시라도 실수로 부팅되는 방법을 차단했습니다. 

이제 실제 파티션-파일 구조를 살펴보도록 하죠. 

 

위치

내용

D: [VHD]

이 파티션이 실제 VHD 파일이 있는 시스템 파티션이다.

여기에 boot와 bootmgr과 실제 VHD 파일이 저장되어 있다.

C: [Windows7]

이 파티션은 하드에 존재하는 파티션이 아니고 VHD 파일을 읽어 만든 가상의 파티션이다.

C: 에 어떤 작업을 했을 경우 C:에 반영이 되고 D:의 실제 VHD파일에 반영된다.

E: [My HDD]

사실 D와 E는 꼭 나눌 필요는 없습니다 편의상 나눈것이고 함께 쓴다면 시스템용으로 파티션을 따로 계산해서 나누지 않고 하드 전체를 하나의 파티션으로 사용해도 됩니다.

VHD를 사용하기 위해서 꼭 해야 할일이 내문서,내사진,즐겨찾기 등의 위치를 C: 가 아닌 다른 파티션으로 바꾸는겁니다. 그래야 vhd를 clear시켜도 데이터가 보존이 되겠죠.

그리고 저는 95% 이상의 프로그램을 무설치/포터블로 사용합니다. 그래야 버전업이던지 추가/삭제가 자유롭고 C:(실제는 VHD)의 크기가 늘지 않아 부팅시 부담이 줄기 때문입니다.

C: 에는 윈도우와 업데이트, 장치 드라이버 정도만 설치합니다. 

포터블로 만드는 방법은 

1. 포터블 버전 다운받아 사용

2. Universial Extractor 로 설치 파일을 풀어서 사용

3. VMWare VirtualBOX 에 설치해서 설치 디렉토리 복사해서 사용

4. VMWare ThinApp 로 단일파일 포터블 생성 

서비스를 등록한다던지의 복잡한 프로그램이 아니면 대부분 설치된 파일들만 복사하면 정상 동작을 합니다. 거기다가 레지스트리 내용까지 등록해주면 더 안정적으로 작동을 합니다.

레지스트리는 Total Uninstall로 레지 변경 추적해서 .reg 파일 작성해서 사용하구요

이걸 다 해서 포터블 버전으로 만들주는 사람들도 있습니다.(포토샵CS5, 오픈오피스 등등)

만약 1,2,3으로 정상 사용이 안되거나 그냥 사용시 문제가 되는 프로그램은 ThinAPP로 단일 포터블버전으로 생성해서 사용합니다. 

요즘은 프로그램 제작자가 설치 파일 뿐만 아니라 포터블용으로도 배포합니다. 그렇지 않은 프로그램들을 포터블로 따로 생성해서 배포해주는 사이트들도 많습니다.

(PortableApps, portableappz, AvaxHome 등등) 

프로그램들을 설치하지 않고 포터블로 쓰면 윈도우 시작 프로그램에 등록이 안되어 있어서 실행하기에 불편하겠죠? 그럴땐 http://usboffice.kr/ 의 회원이 제공해주신 UO Launchpad 같은 런처프로그램을 사용하면 아주 편리합니다. 
 

이렇게 포터블 어플들로 사용하면 윈도우를 포맷하더라도 아무 문제 없이 전체 프로그램을 바로 사용가능합니다. 그리고 usb에 넣거나 복사만하면 어느 PC에서도 윈도우나 사용자 디렉토리를 어지럽히지 않고 그냥 사용 가능합니다.

Honor.VHD (L:)

이 VHD는 상기 윈도우가 설치된 VHD와 달리 디스크 관리자에서 쉽게 생성 할 수 있는 그냥 빈 VHD입니다. 평소엔 Honor.VHD 파일 한개로 보이고 가상 드라이브로 등록했을때만 지정한(ex. L:) 드라이브에 실제 파일들이 보입니다. ISO와 비슷한거 같지만 VHD는 그냥 일반 드라이브처럼 사용되고 입출력이 자유롭게 사용 가능합니다. 

백업시 .vhd 파일 하나만 복사하면 되고 여기다가 BItLocker ToGo로 암호까지 걸어준다면 프로그램 설치 없이 윈도우기능만 쓰니까 왠만한 폴더 암호화 툴보다 나을겁니다.

(단 윈도우7에서만 사용가능)

 

그리고 꼭 이 용도 때문은 아니지만 여기에 문제가 될 만한 파일들 넣고 필요시에만 VHD를 가상 드라이브로 등록해서 사용하고 평소에 또는 상황 발생시에 등록을 해지해서 .VHD파일로만 두면 깨끗한 OS VHD로 따로 부팅을 안하더라도 PC는 깨끗한??? 상태가 됩니다.

 

아 그리고 Sandboxie 라는 프로그램도 사용합니다. 이 프로그램은 실제 윈도우 및 사용환경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sandbox라는 것을 만들어서 그안에 가상현실?을 만들어 주는 프로그램입니다. 많은 용도로 사용가능하구요.

저는 특히 인터넷 할때 Active-X 설치되는 사이트에 들어갈때 SandBoxie로 들어갑니다. 임시용과 자주가는곳용으로 sandbox 하나씩 생성해서 사용하니 실제 윈도우에는 Active-X라는 놈이 하나도 설치 안됩니다. 

하지만 개인만 무료이므로 사무실에선 사용할 수 없습니다.



반응형

'IT 정보 > 컴퓨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ndows 8] 로그인 후 데스크 탑 화면 바로 띄우기  (0) 2015.10.10
VHD란?  (0) 2015.10.10
VHD 로 WIndows 시스템 구성  (0) 2015.10.10
VHD 파일 용량 관리  (0) 2015.10.10